전체 글(156)
-
[ 2D Shader ] Burning Shader Transition
불에 타는 듯한 화면전환 쉐이더를 제작해보았다. 이런 느낌이다. 원래는 Noise를 활용해 불타는 게 움직이면서 천천히 불타게 하려고 했다. 하지만 맘처럼 안 되서 조금 더 실력이 늘면 진행하기로 했고, 일단 텍스쳐와 Step을 활용해서 제작했다.
2023.10.24 -
[ 2D Shader ] Unity Shader Noise
일단 유니티에서 기본 제공하는 Shader Noise들이다. Simple Noise 간단하게 랜덤한 점들로 이루어진 노이즈이다. Voronoi Noise 그리드 셀로 구성된 공간에 랜덤하게 점을 생성한다고 한다는데, 솔직히 무슨 소리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어서 링크를 넣어두겠다. [ 참고 ] Worley nois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ype of noise in computer graphics Example picture generated with Worley noise's basic algorithm. When computing Worley noise, each seed is located within its own grid squar..
2023.10.23 -
[ 개발 공부 ] UML이란?
UML이란 무엇인가? 매우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Unified Modeling Language 통합 모델링 언어라는 뜻이다. 프로그램 설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기법 기획자나 개발자가 효율적으로 의사 소통을 위한 표준화된 모델링 언어이다. 객체지향적인 분석과 설계를 위한 모델링 언어이다. 정해진 기호와 다이어그램으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산출물을 가시화, 구축, 문서화하는 도구 코드를 다이어그램으로 변환 그렇다면 UML을 언제 왜 쓰는가? 기획자, 개발자들끼리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사용한다. 한눈에 보기 어려운 코드들을 시각화하여서 개발중인 시스템을 쉽게 이해하고 유지보수 시스템 설계 아이디어 논의할 때 용의하다. 개발 이전에 구조 짜는데 좋다. 문제를 분석, 설계하는 과정에서 UML을 작..
2023.10.22 -
[ C++ 백준 2473 ] 세 용액
이 블로그 글은 문제에 대한 해설이 아닌 글쓴이가 이 문제를 푼 과정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문제에 대한 해설을 보길 원한다면 다른 글을 권장합니다. 골드 이상 난이도 백준 문제를 풀 때는 알고리즘 분류를 보고 푸는 편이다. 정렬, 이분 탐색, 두 포인터를 사용해서 푸는 거라는 힌트를 받을 수 있다. 문제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여러 용액이 입력되고, 서로 다른 3개의 용액을 선택해서 합했을 때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세 용액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풀 수 있는가? 알고리즘 분류를 보면 정렬, 이분 탐색, 두 포인터를 사용하라고 나와있다.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일단은 용액 3개를 선택해야 된다는 게 문제였다. 용액 2개라면 간단하게 두 포인터를 이용해서 풀 수 있었는데..
2023.10.22 -
[ 낙서 ] 2023-10-22
학교 가기전 급하게 그려본 그림 먼가 이런 식으로 그린 그림들 올리는 것이 나중에 흑역사가 될 것 같긴 하지만 기록을 남겨두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 그린 그림들을 올려보기로 했다. 안 올리는 그림도 있겠지만 주말마다 올려볼 것 같다.
2023.10.22 -
[ 낙서 ] 2023-10-21
최근 그린 그림들이다. 딱히 학원이나 그림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것은 아니지만, 언젠가 자신이 만든 게임에 내가 그린 그림을 넣고 싶어서 간간히 독학중이다.
2023.10.21